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발람을 맞이하는 발락 (민수기22장 36-41절)  

    성경구절(개역개정)      
[민수기 22:36] 

발락은 발람이 온다 함을 듣고 모압 변경의 끝 아르논 가에 있는 성읍까지 가서 그를 영접하고

[민수기 22:37] 

발락은 발람에게 이르되 내가 특별히 사람을 보내어 그대를 부르지 아니하였느냐 그대가 어찌 내게 오지 아니하였느냐 내가 어찌 그대를 높여 존귀하게 하지 못하겠느냐

[민수기 22:38] 

발람이 발락에게 이르되 내가 오기는 하였으나 무엇을 말할 능력이 있으리이까 하나님이 내 입에 주시는 말씀 그것을 말할 뿐이니이다

[민수기 22:39] 

발람이 발락과 동행하여 기럇후솟에 이르러서는

[민수기 22:40] 

발락이 소와 양을 잡아 발람과 그와 함께 한 고관들을 대접하였더라

[민수기 22:41] 

아침에 발락이 발람과 함께 하고 그를 인도하여 바알의 산당에 오르매 발람이 거기서 이스라엘 백성의 진 끝까지 보니라

1.발락이 발람을 만나다.

모압왕 발락은 발람이 온다는 말을 듣고 아주 기쁜 마음으로 발람을 맞이하러 나갑니다. 발락은 발람이 자신들의 문제를 해결할 유일한 자라고 여기고 그를 기다렸던 것입니다. 이것은 발락이 이스라엘에 대한 큰 두려움에 사로 잡혀 있었음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발람을 맞이한 발락의 첫 말은 보답을 할 것이라는 약속의 재확인입니다. 발락은 발람을 움직인 것이 자신의 재물이었음을 말하고 있습니다. 발락의 모습은 세상이 하나님의 백성을 어떤 방법으로 대적하고 있는지를 보여 줍니다. 그들의 신은 재물이며 그들은 그 재물을 의지하여 하나님의 백성들을 무너뜨리기 위한 자신들의 계획을 세웁니다.

우리는 세상이 아무리 강해 보여도 그들 속에는 하나님의 백성에 대한 두려움이 있음을 알아야 합니다. 또한 세상의 가치관은 모든 문제를 재물로 해결하려고 한다는 것도 알아야 합니다.

그러므로 성도는 어떠한 자리에서도 담대함을 잃지 않아야 합니다. 또한 성도는 재물을 신으로 모시는 세상 사람들처럼 행동하지 말아야 합니다.

묵상하기
내 주변의 사람들앞에서 구별된 삶을 사는가?


2.발람의 이중성

발락을 만난 발람의 말은 이중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왕의 부름을 받고 왔습니다. 하지만 자기 임의로 아무 말도 할 수 없고 하나님께서 시키는 말만 할 수 있다고 말합니다.
발락은 자신의 이득을 위하여 발람을 불렀고 자신이 득세한 줄 알았습니다. 하지만 하나님께서는 발람이 자신의 임의로 행하지 못하게 하심으로 이스라엘을 철저하게 보호해 주시고 계십니다.
발락의 악한 계획보다 더 앞서 행하신 하나님의 능력을 보게 됩니다. 하나님께서 허락하지 않으시면 발락이 세우는 모든 계획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묵상하기
하나님께서 내 모든 삶의 주인임을 인정하고 있는가?



1.어떠한 상황에서도 바른 신앙 가치관 위에서 행동하게 하소서.
2.하나님께서 언제는 그의 백성을 보호 하심을 믿고 모든 경우에 담대함을 잃지 않게 하소서.

*자료제공: 김성철목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