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성숙한 성도 아브람 (창세기13장 8-13절)  

    성경구절(개역개정)      
[창세기 13:8] 

아브람이 롯에게 이르되 우리는 한 친족이라 나나 너나 내 목자나 네 목자나 서로 다투게 하지 말자

[창세기 13:9] 

네 앞에 온 땅이 있지 아니하냐 나를 떠나가라 네가 좌하면 나는 우하고 네가 우하면 나는 좌하리라

[창세기 13:10] 

이에 롯이 눈을 들어 요단 지역을 바라본즉 소알까지 온 땅에 물이 넉넉하니 여호와께서 소돔과 고모라를 멸하시기 전이었으므로 여호와의 동산 같고 애굽 땅과 같았더라

[창세기 13:11] 

그러므로 롯이 요단 온 지역을 택하고 동으로 옮기니 그들이 서로 떠난지라

[창세기 13:12] 

아브람은 가나안 땅에 거주하였고 롯은 그 지역의 도시들에 머무르며 그 장막을 옮겨 소돔까지 이르렀더라

[창세기 13:13] 

소돔 사람은 여호와 앞에 악하며 큰 죄인이었더라

1.더 중요한 것을 찾은 아브람

아브람은 애굽으로 내려간 실패 이후에 많은 변화가 일어났음을 볼 수 있습니다. 애굽에서 얻은 재물로 인하여 아브람의 목자와 롯의 목자가 다투는 것을 보고 아브람은 롯을 불러서 더 이상 싸우지 말것을 말하고 있습니다. 아브람은 한 혈육끼리 재물로 서로 다투는 것은 옳지 않다고 롯을 설득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사소한 일 같지만 중요한 일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무엇이 중요한지를 모르거나 비록 알기는 알지만 실천하지 못하는 경우들이 대부분입니다. 우리는 혹시 지금 내 삶속에 진짜 중요한 문제를 잊어 버리고 눈앞에 보이는 이득을 위해 살아가고 있지는 않는지 되돌아 보아야 합니다.


2.네가 좌하면 내가 우하고

관용은 은혜입은 사람에게서 나타나는 영적 미덕입니다. 아브람은 이제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말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자신이 희생하면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게 됩니다. 이러한 아브람의 행동은 이전의 모습과는 전혀 다른 모습입니다. 결국 아브람은 자신이 기득권을 포기하고 설사 좋지 않은 땅을 얻는다고 하여도 그 모든것의 주인되신 하나님의 기뻐하시는 바가 되면 모든것을 얻게 된다는 것을 애굽이라는 곳을 통하여 분명히 보았기에 내가 지금 무엇을 얻을것인가보다 큰 뜻을 추구하는 관용의 사람이 된 것입니다. 나는 혹시 하나님의 주권을 인정하지 못하고 내가 가진 기득권을 붙들고 그것에 의존하여 살아가고 있지는 않는지 살펴 보아야 할 것입니다. 우리는 모든 삶의 영역에서 하나님의 주권을 온전히 인정하는 믿음의 큰 마음을 가지고 살아야 할 것입니다.



1.항상 중요한 것을 바로 세우는 믿음을 주시옵소서.
2.나의 기득권을 포기하면서라도 하나님의 온전한 뜻을 이루게 하옵소서.

*자료제공: 김성철목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