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셈의 후예 (창세기11장 10-32절)  

    성경구절(개역개정)      
[창세기 11:10] 

셈의 족보는 이러하니라 셈은 백 세 곧 홍수 후 이 년에 아르박삿을 낳았고

[창세기 11:11] 

아르박삿을 낳은 후에 오백 년을 지내며 자녀를 낳았으며

[창세기 11:12] 

아르박삿은 삼십오 세에 셀라를 낳았고

[창세기 11:13] 

셀라를 낳은 후에 사백삼 년을 지내며 자녀를 낳았으며

[창세기 11:14] 

셀라는 삼십 세에 에벨을 낳았고

[창세기 11:15] 

에벨을 낳은 후에 사백삼 년을 지내며 자녀를 낳았으며

[창세기 11:16] 

에벨은 삼십사 세에 벨렉을 낳았고

[창세기 11:17] 

벨렉을 낳은 후에 사백삼십 년을 지내며 자녀를 낳았으며

[창세기 11:18] 

벨렉은 삼십 세에 르우를 낳았고

[창세기 11:19] 

르우를 낳은 후에 이백구 년을 지내며 자녀를 낳았으며

[창세기 11:20] 

르우는 삼십이 세에 스룩을 낳았고

[창세기 11:21] 

스룩을 낳은 후에 이백칠 년을 지내며 자녀를 낳았으며

[창세기 11:22] 

스룩은 삼십 세에 나홀을 낳았고

[창세기 11:23] 

나홀을 낳은 후에 이백 년을 지내며 자녀를 낳았으며

[창세기 11:24] 

나홀은 이십구 세에 데라를 낳았고

[창세기 11:25] 

데라를 낳은 후에 백십구 년을 지내며 자녀를 낳았으며

[창세기 11:26] 

데라는 칠십 세에 아브람과 나홀과 하란을 낳았더라

[창세기 11:27] 

데라의 족보는 이러하니라 데라는 아브람과 나홀과 하란을 낳고 하란은 롯을 낳았으며

[창세기 11:28] 

하란은 그 아비 데라보다 먼저 고향 갈대아인의 우르에서 죽었더라

[창세기 11:29] 

아브람과 나홀이 장가 들었으니 아브람의 아내의 이름은 사래며 나홀의 아내의 이름은 밀가니 하란의 딸이요 하란은 밀가의 아버지이며 또 이스가의 아버지더라

[창세기 11:30] 

사래는 임신하지 못하므로 자식이 없었더라

[창세기 11:31] 

데라가 그 아들 아브람과 하란의 아들인 그의 손자 롯과 그의 며느리 아브람의 아내 사래를 데리고 갈대아인의 우르를 떠나 가나안 땅으로 가고자 하더니 하란에 이르러 거기 거류하였으며

[창세기 11:32] 

데라는 나이가 이백오 세가 되어 하란에서 죽었더라

1. 셈의 후예는 이러하니라

성경에서는 종종 족보에 대하여 아주 상세하게 기록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노아 홍수 이후에 하나님께서는 셈을 메시야를 탄생시킬 계보로 정하시고 이 계보를 통하여 일하십니다. 이것은 곧 하나님께서 한 집안을 택하여 믿음의 가정으로 세우시는 일이 결코 우연히 이루어 지는 일이 아님을 알 수 있습니다. 철저하신 하나님의 간섭과 섭리 가운데 일어나는 것입니다. 그러나 종종 우리는 믿음의 계보를 이은 가정에서 태어 났으면서도 이것을 감사하지 못하고 오히려 하나님앞에 불순종하며 자신에게 더 큰 표적을 보여 줄것을 구하는 경우들이 많습니다. 가장 큰 표적은 우리가 믿음의 자리에 있다는 것과 믿음의 가정에 속하였다는 것임을 기억하고 항상 감사하는 믿음을 가져야 할 것입니다.


2. 데라의 등장과 사래(27-32)

특히 데라의 자녀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기록하고 있습니다. 특히 데라의 자녀 가운데 아브람의 아내 사래가 잉태하지 못한 부분을 굳이 이야기 한것은 이후에 나타날 하나님의 사역에 대한 복선적 의미로 보아도 될 것입니다.(30) 결국 하나님께서는 자녀가 많은 다른 데라의 자녀가 아닌 여러가지로 불리하고 당시 자녀가 없어서 오히려 부족함으로 여겨진 아브람을 택하심은 하나님의 택하심은 결코 세상적인 기준에 있지 않음을 우리에게 보여 줍니다. 지금 혹시 내가 부족함이 있다면 이것이 오히려 하나님앞에서 사용되어질 장점이 된다는 것을 기억하고 하나님앞에 겸손함으로 드리는 영적 자세가 필요할 것입니다.



1.내가 믿음의 반열에 들어선 것을 감사하게 하옵소서.
2.사래와 같이 부족함이 있다면 이것을 오히려 감사하게 하옵소서.

*자료제공: 김성철목사